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무/4대보험5

(법인·개인) 4대보험 실무 사업장에서 입사자, 퇴사자가 있을 경우 4대보험에 대한 자격취득, 상실신고 등을 진행해야 합니다.   급여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4대보험을 차감한 후에 세후로 지급해야 합니다.   실무자 입장에서 보면 차감해야 하는 것은 알겠는데, 어디에 신고해야 하고, 무엇을 신고해야 하는지 혹은 신고기간이 언제인지에 대한 부분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은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계법인의 직원 교육 목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소득세 및 지방소득세의 경우 하기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법인·개인) 급여신고 총정리 (법인·개인) 급여신고 총정리급여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4대보험을 차감 후에 세후로 지급해야 합니다.   실무자 입장에서 보면 차감해야 하는 것은.. 2024. 11. 27.
(법인·개인) 급여신고 총정리 급여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4대보험을 차감 후에 세후로 지급해야 합니다.   실무자 입장에서 보면 차감해야 하는 것은 알겠는데, 어디에 신고해야 하고, 무엇을 신고해야 하는지 혹은 신고기간이 언제인지에 대한 부분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은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계법인의 직원 교육 목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매월 급여는 [급여내역 요청 -> 급여대장 작성 -> 원천세/지방세 신고 -> 급여대장 및 납부서 전달 -> 지급명세서 및 근로내용확인신고서 제출] 의 순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위의 순서에 따라서 아래에서 자세하게 급여 프로세스를 설명드리겠습니다.  Step1. 급여내역 요청  [실무 상 자주 발생하는 문의사항]법인 혹은 개인사업장에 근무하고 계시는 분은 원천.. 2024. 11. 27.
(법인·개인) 신규·중도입사자가 있는 경우 [세무업계에서 근무하시는 분] 혹은 [자체 신고하시는 법인/개인사업체의 담당자님]은 본인이 담당 혹은 근무하시는 사업체에 직원이 새로 입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은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계법인의 직원 교육 목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직원이 입사하였을 경우 확인 해야 할 사항 (급여 관련)  ① 입사일② 성함③ 주민등록번호/외국인 여부④ 세전 급여 : 중도 입사자의 경우 일할계산 (209시간이 아니라 일수로 계산)⑤ 비과세 급여  a. 식대 (20만원)  b. 자가운전보조금 (20만원)  c. 연장근로수당 (20만원)  d. 출산/육아휴가 (20만원)  e. 연구개발 수당 (20만원)  f.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     청년 : 만 34세 이.. 2024. 11. 27.
(법인·개인) 원천세 총정리 인건비는 해당 근로자의 세전 급여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공제한 후 세후로 인건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급여에서 공제하는 [4대보험과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원천세라고 합니다. 아래 글은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계법인의 직원 교육 목적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원천세에서 궁금하시는 분 [세무업계에서 근무하시는 분] 혹은 [자체 신고하시는 법인/개인사업체의 담당자님]이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4대보험의 전체적인 개념  4대보험의 전체적인 개념은 아래의 글 참고하시면 됩니다. (법인·개인) 4대보험 총정리 (법인·개인) 4대보험 총정리법인/개인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임직원, 단기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인건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인건비를 지급하게 되면 그.. 2024. 11. 27.
(법인·개인) 4대보험 총정리 법인/개인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임직원, 단기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인건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인건비를 지급하게 되면 그 인원이 4대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대상인지 비대상인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법인/개인 사업체에 근로를 제공하시는 분들은 본인의 근로 형태(임직원, 단기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을 지급받게 됩니다. 급여를 지급받게 되면 본인이 4대보험 대상인지 비대상인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유는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의 기준이 모두 다르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1개월간 근로 시간이 60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4대보험을 모두 가입해야 된다." 라고 규정되어 있지 않고,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 2024.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