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자료/월간공인회계사회

확정급여퇴직부채에서 발생한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의 당기손익 및 당기손익이외의 항목(기타포괄손익)으로의 인식

by Accounting Guide 2024. 11. 24.
반응형

기준서 제1019호에 따라 확정급여제도에 따른 퇴직급여부채는 보험수리적 방법으로 측정하여 종업원이 근로를 제공하는 시점에 비용을 인식한다.

 

법인세법에서는 기업회계를 존중하여 기업이 설정하는 퇴직급여부채를 손금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퇴직급여부채의 설정대상자 및 손금산입 한도액에 대하여는 제1019호에 계상되는 부채금액과 일치하지 않아, 순확정급여부채의 회계상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 사이에 일시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퇴직급여부채에서 발생한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의 배분(법인세비용을 당기손익과 당기손익이외의 항목으로 배분)의 회계처리가 요구된다.

 

제 1012호 문단 63은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당기 및 이연법인세의 금액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당기손익 이외의 항목으로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는 국가 내 기업의 합리적인 비율로 배분하거나 상황에 따라 더 적절히 배분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배부되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IFRS에서는 배부의 순서에 있어 명확한 규정이 없으므로, 다른 국가의 회계기준의 배부기준을 준용하는 등 회사가 배부순서에 있어 회계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단,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에 적용하는 세율이 동일한 경우, 배부순서에 상관없이 배부 후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으나, 적용되는 세율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배부순서에 따라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으므로, 회사는 적절한 배부순서에 대한 회계정책을 결정하여 계속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회사가 사외적립자산을 충분히 적립하여, 회계상 순퇴직급여부채가 세무상 인정되는 순퇴직급여부채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일시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퇴직급여부채와 관련한 이연법인세자산·부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당기법인세의 기간 내 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례>

 

​회계상 보고기간 말 순퇴직급여부채(확정급여부채 - 사외적립자산) 및 세무상 순퇴직급여부채 금액이 다음과 같다.

  

회계상 장부금액 : 100

 

세무기준액 : 80

 

일시적차이 : 20

  

기초 순퇴직급여부채는 0이며, 당기 말 순퇴직급여부채는 다음의 손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당기손실(PL) : 50

 

기타포괄손실(OCI) : 50

 

세율 : 20% (당기법인세에 적용되는 세율과 이연법인세에 적용되는 세율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배부하는 순서에 대하여 다음 방법 등이 가능하며, 회사의 회계정책으로 결정하여 계속 적용한다.

 

이 사례에는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에 적용되는 세율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으므로 배부순서에 관계없이 기간내 배분이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다. 그러나 적용하는 세율에 차이가 있는 경우, 배부순서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상이 할 수 있으므로 유의를 요한다.

 

반응형